재무 지표: Net Income

재무 지표: Net Income

💵 당기순이익 (Net Income) 이란?

당기순이익은 회사가 일정 기간 동안 최종적으로 벌어들인 ‘순이익’을 뜻합니다.
매출에서 모든 비용(원가, 운영비, 이자, 세금 등)을 차감한 뒤,
마지막에 진짜 남는 돈이 바로 당기순이익입니다.


📌 왜 중요한가요?

당기순이익은 말 그대로 “회사가 실제로 얼마 벌었는가?”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재무제표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숫자이며,
기업 가치 평가, 투자 유치, IR 자료에서 반드시 언급되는 핵심 지표죠.

  • “이익이 나는 구조인가요?”
  • “지금은 적자지만, 언제 흑자 전환하나요?”
  • “이익을 재투자할 수 있는가?”

이런 질문에 답을 주는 숫자입니다.


🧮 당기순이익 계산 구조

항목 금액(예시)
매출 100,000,000원
– 매출원가 (COGS) 40,000,000원
= 매출총이익 60,000,000원
– 판매관리비 (SG&A) 30,000,000원
= 영업이익 30,000,000원
± 기타수익/비용 –5,000,000원
– 세금 5,000,000원
= 당기순이익 20,000,000원

💡 예시

  • 매출: 100,000,000원
  • 총비용: 92,000,000원
    → 당기순이익: 8,000,000원
    👉 회사가 실제로 남긴 순이익이 8백만원이라는 의미입니다.

📊 이 지표가 의미 있는 이유

  • 손익의 최종 결과물
    → 재무제표의 끝에서 회사의 성적표를 요약해주는 숫자
  • EPS (주당순이익) 계산의 기초
    →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보는 지표
  • 미래 투자 판단의 기준
    → 회사가 남긴 이익을 어떻게 쓸 수 있을지 보여줌 (재투자, 배당 등)

KPI로서 어떻게 사용하나요?

  • 흑자/적자 여부 판단
    → 스타트업이 언제 손익분기점을 넘었는지 추적
  • 장기 성장성과 비교 분석
    → 매출 성장과 이익률 증가가 함께 가는 구조인지 확인
  • 성과 보상 기준 설정
    → 목표 당기순이익 달성 시 인센티브 지급 등 OKR과 연결 가능
  • 기업 가치 산정
    → PER, EBITDA 등 밸류에이션 지표의 기반 수치

⚠️ 주의할 점

  • 일회성 요인 (정부 보조금, 일회성 매각 이익 등)이 포함되면
    실제 영업성과와 괴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👉 그래서 때로는 **조정된 순이익 (Adjusted Net Income)**을 별도로 계산해 투자자에게 설명하기도 합니다.

  • 손익계산서 외에 현금흐름표도 함께 봐야 실제 재무 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    → 이익은 있어도 현금이 없다면 문제!

📌 요약

당기순이익은

  • 회사의 재무성과를 대표하는 핵심 지표이며,
  • 단순한 매출이 아니라 실제로 얼마를 벌었는가를 보여주는 숫자입니다.

매출과 비용이 아무리 복잡해도,
결국 투자자와 CEO가 가장 먼저 묻는 건 단 하나입니다.

“당기순이익 얼마 나왔나요?”

재무가 고민이신가요? 지금 버니레이트에게 문의하세요!